40년 동안 나무를 심었더니 생긴 일

40년 동안 나무를 심었더니 생긴 일

반응형

세계는 지금 심각한 기후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사계절이 뚜렷하다고 배웠던 우리나라의 계절도 여름과 겨울만 남은 것처럼 느껴지죠. 이런 기후 변화에 대해 환경오염 때문이란 주장도 있지만, 지구의 자연스러운 변화라는 주장도 있는 등 기상학자들도 뚜렷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자연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한데요. 만약 40년 동안 나무를 심으면 무슨 일이 생길까요?

▼ 인도 브라마푸트라 강 위의 섬 마줄리(Majuli)는 강 위에 있는 섬 중 세계에서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마줄리 섬은 지난 70년간 원래 크기의 절반으로 줄어들었고 20년 이내에 완전히 물에 잠길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 몬순 시즌이 될 때마다 홍수로 큰 피해가 나자, 인도 정부는 커다란 댐을 건설했는데 댐 건설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침수되는 지역이 생겨났습니다. 1991년 이래로 35개가 넘는 마을이 휩쓸려 사라졌고, 마줄리 섬도 같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 인도 정부는 세계에서 제일 큰 강 위의 섬 마줄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실상 마줄리를 지키고 있는 건 단 한 명의 환경 운동가입니다.

▼ 1979년, 당시 16세 소년이었던 자다브 파양(Jadav Payeng)은 햇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말라죽은 수많은 뱀들을 목격합니다. 얼마 전 홍수로 인해 나무들이 휩쓸려간 게 원인이었습니다. 이후 자다브는 많은 나무를 심어서 마줄리 섬을 살리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았습니다.


▼ 매일같이 열심히 나무를 심었던 자다브의 노력은 현재까지 무려 40여 년간 계속되었고, 자다브가 심은 나무들은 550헥타르의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뉴욕의 센트럴 파크가 340헥타르인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큰 숲인지 쉽게 알 수 있죠.

(뉴욕 센트럴파크)


▼ 자다브 덕분에 마줄리 섬은 현재 뱅갈 호랑이와 인도 코뿔소, 100마리 이상의 코끼리 무리를 비롯한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처가 되었습니다.


▼ 여전히 섬은 침수될 위기에 처해 있지만, 자다브는 그동안 해온 것처럼 앞으로도 마줄리 섬을 지켜나가겠다고 전했습니다.



반응형

작성자

Posted by simpleadmin

작성자 정보

Issue, Culture, Lifestyle, Surprise, Travel, Luxury

관련 글

댓글 영역

블로그